Search

코로나에 흔들리는 美 부동산 시장...뉴욕 세입자 25% 임대료 납부 안해 - 뉴스플러스

nycpolitic.blogspot.com
입력 2020.07.09 11: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미국 뉴욕시의 주택 위기를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고 8일(현지 시각)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뉴욕 시민의 약 3분의 2는 임대를 통해 집을 얻고 생활하고 있다. 집값 비싸기로 악명 높은 뉴욕시의 임대료는 타 지역에 비해 평균 2배에 달한다.

그런데 코로나19 사태로 실업률이 치솟으면서 임대료를 내지 않는 입주자가 늘고 있다. 지역 지주 및 임대업자들을 대표하는 단체인 지역주거개선프로그램(CHIP)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뉴욕시 임차인의 4분의 1이 임대료를 납부하지 않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텅 빈 뉴욕 맨해튼의 거리. /로이터 연합뉴스
방 4개짜리 아파트를 뉴욕 브루클린 기준으로는 꽤 저렴한 축에 속하는 월 4000달러(약 470만원)에 구했다는 직장인 제시카 리는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식당에서 근무하던 4명의 룸메이트와 월세를 나눠 내고 있지만, 손세정제를 만드는 회사에서 근무하는 자신을 제외하면 전원 해고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식품업계에서는 지금 아무도 고용하고 있지 않다"며 "집주인이 밀린 집세에 대해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나섰는데, 임차인 중 유일하게 소득이 있는 나는 궁지에 몰렸다"고 토로했다.

집주인들도 답답한 것은 마찬가지다. 집세를 받지 못한 일부 임대인들은 자금이 바닥나 수억 달러의 재산세 체납에 대비하고 있다. 뉴욕 시의 새 주법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는 동안 재정적인 어려움에 직면한 세입자들의 퇴거를 금지하고 있다. 백신이 생기기 전까지는 임대료를 감당할 수 없는 세입자들도, 그들의 임대인도 지불계획을 협상하거나 기적을 바라는 수밖에 없다.

주당 600달러의 일시적인 실업수당 인상 또한 미 의회가 추가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이상 7월 말에 만료될 예정이다. 뉴욕 시의 독립 싱크탱크인 재정적책연구소(Fiscal Policy Institute)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조나스 숀데스는 "엉망진창이 될 것"이라며 "제대로 된 계획은 없는데 다가오는 문제의 규모는 너무 크기만 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미 연방정부는 3월에 락다운을 실행하면서 실업률이 20년대의 대공황기 수준으로 치솟자 주택 융자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뛰어들었다. 하지만 의회에서 몇몇 민주당 의원들의 제안을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임대업자들을 위한 구조 계획은 아직 없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뉴욕 시와 같이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여유가 있다면 교외로 이주하는 것을 택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원격으로 일할 수 있는 사무직 종사자들이다.

결국 임대료 부담은 뉴욕 시내의 레스토랑 등에서 일하는, 원격 근무가 불가능한 사람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예정이다. 뉴욕대 퍼먼센터(Furman Center)의 조사에 따르면 뉴욕 시 거주자 중 70만명 이상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소득을 잃은 상태다.

집주인 입장에서는 돈을 내지 않는 세입자들만이 문제가 아니다. 중개업자 네스트시커즈 인터내셔널의 에이전트 돈드레 로버츠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떠나는 사람들을 대체할 사람을 찾는 게 더 어렵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뉴욕대 인근의 한 집주인은 현재 17%의 공실률을 보이고 있다"며 대학생들도 코로나 사태로 어려운 시기를 자취방이 아닌 부모님의 집에서 보내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빈 방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로버츠는 "일반적으로 뉴욕 시의 스튜디오는 2600달러가 들지만, 지금은 2300달러면 구할 수 있다"며 "많은 집주인들이 한 달치 무상으로 월세를 내놓으면서 중개수수료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방정부의 별다른 구제책이 발표되지 않는 가운데 뉴욕 주는 세입자들의 퇴거를 막기 위해 지난 달 임차인 안전항만법을 제정했다. 이는 8월 20일에 만료되었을 퇴거 금지 조치를 대체한다. 그동안 집주인들은 세입자들을 상대로 임대료 미납에 대한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경기가 침체되는 동안 세입자들은 집에서 쫓겨나지 않는 대신 매달 증가하는 부채를 떠안게 됐다.

뉴욕 시정부와 함께 퇴거 및 주택 연구를 해 온 금융 자문 회사 스타우트 리시우스 로스 LLC의 닐 스틴캄프 전무이사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새 법령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장기적인 부작용을 가져올 단기적인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숙자 보호소에 도착하는 사람들의 수는 줄일 수 있겠지만, 결과적으로는 세대 빈곤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July 09, 2020 at 09:20AM
https://ift.tt/2AHYr6d

코로나에 흔들리는 美 부동산 시장...뉴욕 세입자 25% 임대료 납부 안해 - 뉴스플러스

https://ift.tt/3hproVd


Bagikan Berita Ini

Related Posts :

0 Response to "코로나에 흔들리는 美 부동산 시장...뉴욕 세입자 25% 임대료 납부 안해 - 뉴스플러스"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